통합검색

연구데이터 상세

조현병 환자의 회복을 촉진하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중재프로그램

메타 데이터

데이터 기본 정보
질환 및 건강상태
정신 및 행동 건강
중재
지역사회 기반 보건의료서비스
연구설계
비무작위 임상시험(non-RCT)
DB명
조현병 환자의 회복을 촉진하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중재프로그램
참여기관수
11
연구대상자(P)
조현병 범주장애 대상자
연구대상자 수

408

중재(I)
조현병 범주장애 그룹인지행동치료 중재군/조현병 범주장애 증상교육 중재군/조현병 범주장애 가족치료 중재군
연구대상자 수

116명/124명/47명

비교중재(C)
조현병 범주장애 대조군(비중재군)
연구대상자 수

121명

관심건강결과(O)
일차 결과변수: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 (대상자 주관적 안녕감 삶의 질 척도)
이차 결과변수: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사회적 직업적 기능 임상 평가 척도),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정신병리 임상 평가 척도), HoNOS(건강 성과 척도), Drug Attitude Inventory(대상자 약물 태도 척도), Beck Cognitive Insight Scale(벡의 인지적 병식 척도), Perceived Stress Scale(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임상연구 등록 정보
CRIS KCT0005019

회복을 촉진하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그룹인지행동치료

CRIS KCT0005768

회복을 촉진하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평가: 증상교육

CRIS KCT0005489

회복을 촉진하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평가: 가족교육

프로토콜 논문
1) Kim, S. W., Kim, J. K., Jhon, M., Lee, H. J., Kim, H., Kim, J. W., etc. Mindlink: A stigma‐free youth‐friendly community‐based early‐intervention centre in Korea. Early Intervention in Psychiatry. 2021;15(5):1389-1394.
2) Kim, S. W., Hyun, S., Kim, J. K., Kim, H., Jhon, M., Kim, J. W.,etc. Effectiveness of group metacognitive training and cognitive–behavioural therapy in a transdiagnostic manner for young patients with psychotic and non‐psychotic disorders. Early Intervention in Psychiatry. 2023;17(1):29-38.
연구개발과제 기본 정보
연구과제명(국문)
조현병 환자의 회복을 촉진하는 지역사회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책임연구자
김성완
소속
전남대학교병원
연구수행기간
2020-03-05 ~ 2024-07-31
연구목적
환자 중심 지역사회 기반 정신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해당 프로그램이 기존 관리 방식과 비교하여 조현병 치료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근거 생성을 통해 조현병 환자의 회복을 촉진 하고자 함
연구 수행방법 요약
1. 치료 기간 5년 이내의 환자 중 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의 치료 전후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함
2. 조현병 범주장애 환자와 비정신증 환자에서 개선 정도를 비교 분석함
3. 그룹인지행동치료: 총 15회기 진행되는 14주간의 CBT 전후 정신의학적 척도 평가, 비중재 usual care group과 비교하는 prospective, open-labeled,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를 진행함
4. 증상교육: 총 6회기 동안 진행되는 5주간의 증상관리 교육 전후에 정신의학적 척도를 평가하며 비중재 usual care group과 비교하는 전향적 연구를 수행함
5. 가족교육: 총 10회기 동안 진행되는 9주간의 가족치료 전후에 가족 및 환자 대상으로 정신의학적 척도를 평가함. 비중재 usual care group과 비교하는 전향적 연구를 수행함
대상자 등록 및 추적관찰
1. 대조군: 2020년 10월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2023년 11월 마지막 대상자 등록까지 총 121명의 데이터가 수집됨(스크리닝 탈락 제외). 임상연구 일정은 VISIT0(선별평가), VISIT1(기저선), VISIT2,3(1차평가), VISIT4(장기경과추적) VISIT5(종료방문)을 포함함
2. CBT: 2020년 04월 첫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2023년 12월 마지막 대상자 등록까지 총 116명의 데이터가 수집됨(스크리닝 탈락 제외). 임상연구 일정은 VISIT0(선별평가), VISIT1(기저선), VISIT2,3(중재 및 평가), VISIT4(장기경과추적) VISIT5(종료방문)을 포함함
3. 증상교육: 2020년 10월 첫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2023년 11월 마지막 대상자 등록까지 총 124명의 데이터가 수집됨(스크리닝 탈락 제외). 임상연구 일정은 VISIT0(선별평가), VISIT1(기저선), VISIT2(중재 및 평가), VISIT3(장기경과추적) VISIT4(종료방문)을 포함함
4. 가족교육: 2020년 09월 첫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2023년 12월 마지막 대상자 등록까지 총47명의 데이터가 수집됨(스크리닝 탈락 제외). 임상연구 일정은 VISIT0(선별평가), VISIT1(기저선), VISIT2~4(중재 및 1차 평가), VISIT5(장기경과추적) VISIT6(종료방문)을 포함함
주요 수집 항목
Demographics, Demographics(가족용), Medical History, Psychiatric History, 정신사회적 중재 프로그램 참여 유무, 신체계측 및 활력징후, 흡연 및 음주력, 정신보건 및 지역자원 이용, PANSS,SOFAS,Clinical GlobalImpressions-Schizophrenia (CGI-SCH),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I), 건강성과척도(HoNOS), 컬럼비아 대학 자살 심각성 평가 척도(C-SSRS), 주관적 안녕감 측정 척도 - 단축형 (SWN-K), 약물에 대한 태도 척도(DAI-10), 약물에 대한 태도 척도(DAI-10)_가족용, 벡 인지적 병식척도(Beck Cognitive Insight Scale, BCIS), 벡 인지적 병식척도(Beck Cognitive Insight Scale, BCIS)_가족용, 단축 탄력성 척도(BRS), 자아존중감 척도(RSE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외로움 척도, 동기와 즐거움 척도(MAP-SR), 가족 적응력 & 결속력 평가도구(FACES-III), 가족 적응력 & 결속력 평가도구(FACES-III)_가족용,건강설문조사 (EuroQoL-5D), 건강설문조사 (EuroQoL-5D)_가족용, 가족 정서관여 및 비난 척도(FEICS), 스트레스 자각 척도(PSS), 스트레스 자각 척도(PSS)_가족용, DSST, Emotional Recognition Test (ERT) 정서인식력 검사, 가족부양 부담 척도, 프로그램 참여 유무, 프로그램 만족도
데이터 활용 시 유의사항
데이터 활용 명시
(국문)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수행된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 선정과제(과제고유번호: RS-2019-KH082968)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음
(영문)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originally collected from 「Patient-Centered Clinical Research Coordinating Center」 research(grant number: RS-2019-KH082968) gran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ublic of Korea.
양도/대여 금지
자료요청 절차에 따라 PACEN 임상연구 데이터를 받은 기관 혹은 개인이 아닌 경우, PACEN 임상연구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결과를 논문이나 연구보고서 등에 게재 및 출판 금지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 금지
본 데이터는 학술활동 및 정책 개발등의 비영리적인 목적으로만 이용가능(타인에게 판매 금지)
데이터 이용 승인기간 준수
이용자는 이용 승인기간 내에만 데이터 이용 가능
산출물 보고
논문 및 연구결과 발표, 정책보고서 등 작성 시 데이터 활용에 대한 명시 및 PACEN 사사표기를 포함하여야 하며, 산출물이 발생하는 경우 30일 내에 PACEN 담당자에게 사본을 이메일로 제출(pacen2@neca.re.kr)

데이터 활용 지침서

파일설명

임상연구데이터 활용 지침서 Ver 1.0

자료유형

기타

분양신청
  • 645조회
  • 0분양신청
공개일자
2025-01-06
Versions
  • Version 1.1 2025-01-06
  • Version 1 202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