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수행방법 요약
1. 치료 기간 5년 이내의 환자 중 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의 치료 전후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함
2. 조현병 범주장애 환자와 비정신증 환자에서 개선 정도를 비교 분석함
3. 그룹인지행동치료: 총 15회기 진행되는 14주간의 CBT 전후 정신의학적 척도 평가, 비중재 usual care group과 비교하는 prospective, open-labeled,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를 진행함
4. 증상교육: 총 6회기 동안 진행되는 5주간의 증상관리 교육 전후에 정신의학적 척도를 평가하며 비중재 usual care group과 비교하는 전향적 연구를 수행함
5. 가족교육: 총 10회기 동안 진행되는 9주간의 가족치료 전후에 가족 및 환자 대상으로 정신의학적 척도를 평가함. 비중재 usual care group과 비교하는 전향적 연구를 수행함
대상자 등록 및 추적관찰
1. 대조군: 2020년 10월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2023년 11월 마지막 대상자 등록까지 총 121명의 데이터가 수집됨(스크리닝 탈락 제외). 임상연구 일정은 VISIT0(선별평가), VISIT1(기저선), VISIT2,3(1차평가), VISIT4(장기경과추적) VISIT5(종료방문)을 포함함
2. CBT: 2020년 04월 첫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2023년 12월 마지막 대상자 등록까지 총 116명의 데이터가 수집됨(스크리닝 탈락 제외). 임상연구 일정은 VISIT0(선별평가), VISIT1(기저선), VISIT2,3(중재 및 평가), VISIT4(장기경과추적) VISIT5(종료방문)을 포함함
3. 증상교육: 2020년 10월 첫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2023년 11월 마지막 대상자 등록까지 총 124명의 데이터가 수집됨(스크리닝 탈락 제외). 임상연구 일정은 VISIT0(선별평가), VISIT1(기저선), VISIT2(중재 및 평가), VISIT3(장기경과추적) VISIT4(종료방문)을 포함함
4. 가족교육: 2020년 09월 첫 대상자 등록을 시작으로 2023년 12월 마지막 대상자 등록까지 총47명의 데이터가 수집됨(스크리닝 탈락 제외). 임상연구 일정은 VISIT0(선별평가), VISIT1(기저선), VISIT2~4(중재 및 1차 평가), VISIT5(장기경과추적) VISIT6(종료방문)을 포함함
주요 수집 항목
Demographics, Demographics(가족용), Medical History, Psychiatric History, 정신사회적 중재 프로그램 참여 유무, 신체계측 및 활력징후, 흡연 및 음주력, 정신보건 및 지역자원 이용, PANSS,SOFAS,Clinical GlobalImpressions-Schizophrenia (CGI-SCH),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I), 건강성과척도(HoNOS), 컬럼비아 대학 자살 심각성 평가 척도(C-SSRS), 주관적 안녕감 측정 척도 - 단축형 (SWN-K), 약물에 대한 태도 척도(DAI-10), 약물에 대한 태도 척도(DAI-10)_가족용, 벡 인지적 병식척도(Beck Cognitive Insight Scale, BCIS), 벡 인지적 병식척도(Beck Cognitive Insight Scale, BCIS)_가족용, 단축 탄력성 척도(BRS), 자아존중감 척도(RSE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외로움 척도, 동기와 즐거움 척도(MAP-SR), 가족 적응력 & 결속력 평가도구(FACES-III), 가족 적응력 & 결속력 평가도구(FACES-III)_가족용,건강설문조사 (EuroQoL-5D), 건강설문조사 (EuroQoL-5D)_가족용, 가족 정서관여 및 비난 척도(FEICS), 스트레스 자각 척도(PSS), 스트레스 자각 척도(PSS)_가족용, DSST, Emotional Recognition Test (ERT) 정서인식력 검사, 가족부양 부담 척도, 프로그램 참여 유무, 프로그램 만족도